강아지 분리불안 장애 증상 해결방법
사람 뿐 아니라 강아지도 분리불안 장애를 겪습니다.
강아지 분리불안 장애 증상은 강아지가 주인과 떨어져 있을 때 나타납니다.
주요 강아지 분리불안 증상은 안절부절하지 못한 행동을 보이거나, 침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구토나 설사를 하는 증상도 강아지 분리불안 증상의 하나입니다.
그 밖에도 강아지 분리불안 증상은 멈추지 않고 짖거나 낑낑거리는 것, 사료나 간식을 먹지 않는 것,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는 것 모두 강아지 분리불안장애입니다.
강아지 분리불안장애가 심해지면 앞서 말씀드린 분리불안 증상 뿐만 아니라 공격성도 심해집니다. 주인을 물려고 하거나 공격을 하기도 합니다.
또한 보호자가 없을 경우에는 집안의 가구나 문 등을 긁고 물기도 합니다.
이러한 강아지 분리불안장애가 심해지면 강아지가 다치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강아지 분리불안장애 증상이 나타난다면 묵인하지 말고 강아지 분리불안 해결 및 치료를 해주시는게 필요합니다.
강아지 분리불안 해결방법은 미리 교육을 시키는 것에서 부터 시작합니다.
분리불안 증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다리는 훈련을 시켜야 합니다.
기다리는 교육은 매일 주인이 1~2분 정도 문 밖에 나갔다 들어올때까지 강아지가 기다리도록 훈련하며 외출 시간을 점점 늘려가야 합니다.
강아지 분리불안 해결을 위해 기다리는 훈련을 할경우 주의 사항이 있습니다.
외출을 하거나 돌아왔을 경우 강아지의 기분이 업되도록 과도한 인사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강아지가 흥분된 기분을 가라앉힐 때까지 기다린 후 차분하게 잘 기다렸음을 칭찬해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아지 분리불안 해결방법 두번째는 주인이 다시 돌아온다는 확신을 주어야 합니다.
확신을 주는 강아지 분리불안장애 해결 방법은 기다리는 훈련을 통해 외출 후에도 금방 주인이 돌아온다는 것을 인식시키고 이 시간을 점차 늘려가며, 강아지가 잘 기다렸을 경우 상으로 간식이나 사료 등을 더 주는 방식을 선택하셔도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강아지 분리불안 장애 증상과 분리불안 해결 법을 알아보았습니다.